반응형
상장회사 공시담당자의 필요 역량과 주요 직무 완벽 정리
공시담당자는 기업의 ‘정보 게이트키퍼’입니다. 법정기한 준수와 정확한 정보 제공을 위해 법규 이해, 재무지식, 문서력, 전사·C레벨 소통 역량이 모두 요구됩니다.
왜 중요한가?
- 투자자 보호와 시장 신뢰를 좌우하는 필수 기능
- 법규 위반(누락·허위공시)은 과징금·제재·평판 리스크로 직결
- 경영 의사결정과 자본시장 커뮤니케이션의 핵심 허브
공시담당자의 필요 역량
1) 법규·규정 이해
- 상법, 자본시장법, 상장규정, 공정거래법의 핵심 요건 숙지
- DART·KIND 시스템 이해, 정기/수시/조회/자율 공시요건 파악
2) 재무·회계 지식
- 연결/별도 재무제표 구조와 주요 계정 이해
- 성과·재무구조 변화의 투자판단 영향 해석
3) 문서 작성·검토
- 이사회 의안서, 주총 소집공고, 공시문서 작성
- 숫자/날짜/용어 정합성 및 법적 타당성 검토
4) 커뮤니케이션·조율
- 재무·법무·IR·PR·사업부와 신속한 정보공유 및 승인 절차 조율
- 거래소·금감원·공정위 등 대외기관 질의응답 대응
5) 모든 부서와의 소통
- 전사 정보의 정확한 수집/해석/전달
- 부서별 전문용어를 공시 관점으로 번역하는 능력
6) C레벨(CEO/CFO 등)과의 소통
- 공시 필요성·시급성·법적 리스크를 한눈에 전달하는 브리핑
- 핵심 포인트 중심의 의사결정 지원 메모·슬라이드 작성
- 민감 이슈에 대한 직보(直報) 신뢰관계 구축
7) 리스크 관리 & 8) 윤리/기밀
- 공시대상/시점 판단, 허위·누락 리스크 사전 차단
- 미공개중요정보 관리, 내부자거래 방지 교육
주요 직무(What we do)
구분 | 세부 업무 |
---|---|
정기공시 | 사업·반기·분기보고서, 감사보고서, 증권신고서/투자설명서 작성·제출 |
수시공시 | 합병·분할·영업양수도, 신주발행, 자사주, 최대주주/경영권 변동 등 즉시공시 |
조회공시 | 거래소 질의에 대한 사실 확인·답변 공시(루머·보도 대응 포함) |
자율공시 | 신규사업, 인증/수상, 주요 계약, IR자료 등 투자자 관심사항 공시 |
이사회·주총 | 소집통지, 의안서·의사록 관리, 결의내용 공시 및 사후 모니터링 |
공정위 공시 | 대규모기업집단 내부거래, 계열사 주식취득 등 관련 보고 |
내부정보 관리 | 내부정보 등록/변경 관리, 인사이더 리스트, 임직원 교육 |
기관 대응 | 거래소·금감원·공정위 요청자료 제출, 점검·제재 대응 |
사내 전파 | 법령/규정 변경사항 공지, 매뉴얼 개정, 정기 교육 |
실무 팁(바로 쓰는 체크리스트)
- 캘린더 : 정기공시 마감·IR 이벤트·이사회 일정을 한 달 전부터 리마인드
- 원소스 : 숫자·용어 기준표(마스터)를 운영해 문구/수치 불일치 방지
- 로그 : 공시대상 여부 판단·승인 히스토리 문서화(감사·기관 대응 필수)
- 시나리오 : 보도/루머 대응 템플릿과 C레벨 보고 라인 사전 확정
- 협업 : 재무·법무·IR·사업부 정례 회의로 정보 비대칭 최소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