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7월 대규모기업집단 소속회사 변동 총정리 (편입·제외·순증감)

반응형

2025년 5~7월 대규모기업집단 소속회사 변동 총정리 (편입·제외·순증감)

공정거래위원회 자료(2025.8.1 기준)에 따라 최근 3개월 간(5~7월) 대규모기업집단의 계열사 편입·제외 변동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투자자/실무자를 위한 해설과 규제 시사점도 함께 제공합니다.

1) 개요

2025년 5월~7월 사이, 국내 대규모기업집단에서는 신규 편입(회사설립·지분취득 등)과 제외(흡수합병·지분매각·청산 등)가 동시에 진행되며, 전체 계열사 수는 소폭 감소했습니다. 이는 강화되는 규제 환경 속에서 비핵심 정리와 선택·집중의 흐름이 이어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2) 집단구분별 요약(전체 집계)

집단구분 5월1일 편입(회사설립/지분취득/기타) 제외(흡수합병/지분매각/청산/기타) 순증감 8월1일
상호출자제한 2,093 28 31 -3 2,090
공시대상 1,208 33 42 -9 1,199
전체 3,301 61 73 -12 3,289

※ ‘편입/제외’는 세부 사유(회사설립·지분취득·흡수합병·지분매각·청산 등)를 합산한 값입니다.

3) 기업집단별 변동 요약(핵심 발췌)

엑셀 원자료 기반으로 기업집단별 편입/제외를 집계했습니다. 아래 표는 변동이 뚜렷한 주요 집단을 예시로 보여주며, 전체 표(완전판)는 하단 “데이터 다운로드”에서 CSV/HTML로 받으실 수 있습니다.

기업집단 편입 합계 제외 합계 순증감 해설
크래프톤 10 0 +10 공격적 확장(신규/글로벌 자회사 편입 추정)
네이버 4 1 +3 플랫폼/신사업 확장, 비핵심 일부 정리 병행
소노인터내셔널 3 0 +3 관광/레저 자회사 확대
한화 3 1 +2 방산/에너지 축, 선택·집중
삼성 2 2 0 금융·비금융 조정(효율화)
SK 1 2 -1 비핵심 정리+신성장동력 탐색 병행
현대자동차 2 3 -1 서비스/모빌리티 조직 효율화
LG 0 2 -2 선택·집중, 비핵심 정리

※ 상기 표는 변동 폭이 눈에 띄는 집단을 예시로 발췌한 것입니다. 전체 집단 표는 하단에서 다운로드하세요.

4) 투자자 관점 핵심 포인트

  • 확장 시그널: 크래프톤(+10), 네이버(+3) 등은 신사업/글로벌 편입이 가속되는 모습. 관련 밸류체인 확인 필요.
  • 효율화 시그널: 삼성(0), SK(-1), 현대차(-1), LG(-2) 등 대형 집단은 비핵심 축소·내실 다지기 지속.
  • 자산총액/동일인 범위: 편입·제외는 공시의무 및 기업집단 지정(5조/10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M&A 전조: 신규 법인 설립·지분취득 증가 구간은 후속 M&A나 JV 확대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음.

5) 규제·제도 시사점

  • 금융·비금융 분리: 금융계열 조정은 금산분리 규제 준수와 맞물림. 동일인 지정·공시 영향 체크.
  • 내부회계관리제도: 계열사 축소는 통제 범위 간소화로 이어질 수 있어 실무 영향 큼.
  • 기업결합 심사: 2025 개정 가이드라인에 맞춰 자산·매출 기준, 시장구조 변화 반영 필요.

📎 출처(공정거래위원회): 최근 3개월간 대규모기업집단 소속회사 변동 현황(2025.8.1 기준)

#대규모기업집단 #공정위 #기업집단변경 #계열사편입 #계열사제외 #M&A #기업결합 #금산분리 #내부회계 #투자자관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