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년 상법 개정 주요 내용 및 기업 영향 분석
2025년 7월 공포된 상법 개정안은 기업 지배구조의 투명성과 주주권 보호를 강화하고,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변화되었습니다. 아래에서는 주요 개정 사항과 기업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향후 대응 방안을 정리합니다.
Ⅰ. 상법 개정 주요 내용
구분 | 개정 전 | 개정 후 | 자산 규모 요건 | 시행 시기 |
이사 충실의무 | 이사의 충실의무 범위 ‘회사’ | 이사의 충실의무 범위 ‘회사’, ‘주주’ | 해당 없음 | 공포 즉시 |
독립이사(舊 사외이사) | (상장회사) 이사 총수의 1/4 이상 | (상장회사) 이사 총수의 1/3 이상 | 1,000억원 이상 2조원 미만 | 공포 후 1년 뒤 시행 |
감사위원회 | 감사위원 선임 시 최대주주 의결권 개별 3% 제한 | 감사위원 선임 시 최대주주 의결권 합산 3% 제한 | 필수 구성 요건 자산 2조원 이상 | 공포 후 1년 뒤 시행 |
전자주주총회 | 자율 시행 | 현장 병행형 전자주총만 근거 마련 (자산 2조원 이상은 현장+원격 필수) | 자산 2조원 이상 필수 | 2027.1.1 |
Ⅱ. 기업 영향도 및 향후 대응
구분 | 당사 영향도 | 판단 근거 | 대응방안 | 비고 |
이사 충실의무 | 영향도 높음 | 자산 규모와 무관하게 전체 회사에 영향 | 주요 의사결정 시 ‘주주’에 미치는 영향 검토 필수, 회의록 및 공시 근거 기재 필요 | |
독립이사 | 영향도 높음 | 현 비율 25% 수준, 법 시행 시 추가 선임 필요 가능성 | 시행 시기 전 비율 조정 검토 | |
감사위원회 | 영향도 낮음 | 감사제도 운영 중, 현재 영향 미미 | 필요 시 제도 변경 사항 검토 | |
전자주주총회 | 영향도 낮음 | 자산 2조원 미만, 자율 도입 가능 | 향후 계열 확대 시 도입 검토 |
Ⅲ. 주요 개정 포인트 정리
- 이사 충실의무 확대 : 기존 ‘회사’ → ‘회사 + 주주’로 확대. 주주권 보호 강화.
- 전자 주주총회 의무화 : 자산 2조원 이상 상장사, 현장+원격 병행 의무화.
- 사외이사 명칭 변경 및 비율 상향 : ‘사외이사’ → ‘독립이사’, 1/4 → 1/3 이상.
- 3% 룰 보완 : 감사위원 선임 시 최대주주 의결권 합산 3% 제한.
Ⅳ. 제도 변화 대응 체크리스트
- 이사회 운영규정 및 회의록 작성 시 ‘주주 영향’ 검토 항목 추가
- 독립이사 비율 법정 요건 충족 여부 사전 점검
- 감사위원회 운영 방식 법 개정 반영 여부 검토
- 전자주총 도입 계획 수립
※ 이사의 주주충실의무 준수를 위한 내부 가이드 마련 필요하며 내부 위원회를 설립하거나 관련 검토 내용을 이사회의사록 별첨으로 포함하는 등의 준비가 반드시 필요
※ 분할/합병 등의 회사 구조 변경 시에는 필수 검토사항으로 타사 주요사항보고서 등 선례에 대한 검토 필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