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공시대상기업집단 핵심 분석: 내부지분율 62.4%, 사익편취 958개사, 순환출자 해소 트렌드
 

2025 공시대상기업집단 핵심 분석: 내부지분율 62.4%, 사익편취 958개사, 순환출자 해소 트렌드

반응형
2025 공시대상기업집단 핵심 분석: 내부지분율 62.4%, 사익편취 958개사, 순환출자 해소 트렌드

핵심 요약 리포트

2025년 공시대상기업집단 핵심 분석: 내부지분율 62.4%, 사익편취 958개사

본 글은 2025년 9월 공정위 보도자료(공시대상기업집단 주식소유현황 분석·공개)의 수치를 바탕으로 핵심만 빠르게 정리한 콘텐츠입니다. 기업·투자자·소비자 모두가 바로 참고할 수 있도록 실무 관점의 체크포인트를 중심으로 구성했습니다.

1) 내부지분율 62.4%: 계열 중심 지배 강화

  • 내부지분율 62.4%(’24년 61.1%→상승)
  • 총수일가 3.7%(정체), 계열회사 55.9%(’21년 51.7%→상승)
  • 의미: 직접 지분보다 계열사 출자를 통한 지배 강화

2) 총수·2세 지분 상위

구분그룹지분율
총수 지분율크래프톤29.8%
총수 지분율부영23.1%
총수 지분율반도홀딩스19.3%
총수 2세 지분율넥슨64.5%
총수 2세 지분율한국앤컴퍼니21.7%
총수 2세 지분율애경10.6%

3) 자기주식 보유와 리스크

  • 79개 집단·414개사 자기주식 보유, 5% 이상 상장사 71개사
회사자기주식 비율
미래에셋생명보험㈜34.2%
롯데지주㈜32.3%
㈜티와이홀딩스29.2%
㈜인베니28.7%
에스케이㈜24.6%

포인트: 경영권 방어 수단이지만 규제·ESG 리스크 병존

4) 국외계열사 출자

  • 34개 집단, 국외 116개사 → 국내 90개사 출자
  • 주요: 롯데(21), 한화(13), SK(11), 카카오(9), 네이버(7)
  • 총수일가 20% 이상 보유 국외계열사 55개 중 10개가 국내 출자

5) 사익편취 규제(958개사)

구분개수비중
합계95831.0%
① 총수일가 20% 이상39112.7%
② ①이 50% 초과 보유56718.3%

6) 순환출자 해소

  • KG: 순환출자 10→2개 축소 / 태광: 전면 해소
  • 관건: 단순 수가 아니라 지배경로·현금흐름 투명성

FAQ · 키워드

Q. 내부지분율 상승은 호재인가요?
A. 경영권 안정 신호지만, 총수일가 직접 지분이 낮을 경우 지배구조 리스크는 여전합니다.
Q. 자기주식이 많으면 무조건 좋은가요?
A. 방어·환원 수단이지만 상법·ESG 시각에선 규제·평판 리스크도 큽니다.
Q. 국외계열사 출자가 왜 문제되나요?
A. 이전가격·세무 리스크, 자금흐름 투명성 부족으로 규제기관 감시 대상이 됩니다.
Q. 사익편취 규제대상 회사는?
A. 총수일가 20% 이상 보유 회사와 그 회사가 50% 초과 지분 보유한 회사. 총 958개사(31%).
반응형